19세기 사회문화이론은 20세기의 도시사회이론에 어떠한 영향을 주었는가?
프랑스에서는
도시를 사회경제적 구조가 구현된 공간적 틀로 본 마르크스와 엥겔스의 시각은 후에 르페브르, 카스텔, 하비와 같은 1970년대 프랑스 도시 연구가들에게 영향을 준다.
르페브르는
자본의 논리에 따른 도시계획이 공간을 매개로 사회경제적 불평등을 심화시킨다고 말하며 ‘도시권’을 내세웠다. 도시권은 크게 2가지의 권리를 말하는데, 전유의 권리와 참여의 권리가 그것이다. 전유의 권리란 도시민이 도시에서 살아가는데 필요한 사회적 서비스 시설의 확충과 시설 이용에 불평등이 없어야 한다는 것이다. 참여의 권리란 도시의 행정이나 정책과 같은 부분에 있어 도시민의 참여가 이루어져야 한다는 것이다. 이러한 그의 사유는 68 혁명 전후에 큰 영향을 끼쳤으며 UN 해비타트는 2010 세계도시포럼에서 도시에 대한 권리를 중요한 의제로 설정하였다.
카스텔의 경우
도시를 집합적 소비의 중심지로 생각했다. 이는 그 전의 많은 연구자들이 도시를 생산의 중심지로 본 것과는 다른 시각에서 중요성을 갖는다. 그는 집합적 소비가 이루어지는 과정을 통해 전체적인 도시체계와 사회구성체가 접촉하는 복잡한 지점들을 포착하려고 했다.
마지막으로 하비는
자본주의 도시를 자본축적의 확대재생산을 위한 제반 필요시설이 집중된 곳으로 보았다. 도시는 축적 위기를 타개하기 위해 생긴 건조 환경이라는 것이다. 필요 이상으로 발생한 잉여가치가 과잉 축적을 막기 위해 생산이라는 제1차 순환 부문에서, 공장이나 유통시장의 건설이라는 제2차 순환 부문으로, 연구개발과 교육영역이라는 제3차 순환 영역으로 투자되며 그 위기를 타개한다는 것이다. 1850-60년대 오스만이 실시한 파리의 대대적 재정비 사업은 철도회사에 대한 민간 자본의 대규모의 주식투자가 더 이상 잉여가치를 생산하지 못하는 자본의 한계 국면에서 실시되었다.
영국에서는
이와 달리 도시 안의 사회경제적 구조보다 주체의 힘을 중요시 여긴 베버의 생각은 1960~70년대 영국의 도시사회학자들에게 영향을 준다.
2차세계대전의 종전 후 영국에서는 케인 주의 수정자본주의를 수용하여 사회복지체제를 강화하였다. 이런 상황에서 도시사회학자들은 도시사회체계의 정치적 행정적 차원과 공적 합리성에 기초한 도시관리 모델에 관심을 기울였다. 이전에 자본과 노동의 갈등이 계급투쟁으로 나타났다면 당시는 사회정책을 통한 부의 재분배로 나타났다.
렉스와 무어는
도시공간을 주거와 같은 희소자원이 차등적으로 배분되어 있는 계급적 체계로 보았다. 도시의 주택 분배 체계는 노동시장에서 야기되는 사회적 불평등을 재강 화하고 있었기에 사회적 불평등을 완화시키고 노동계급의 생활수준을 개선하기 위한 도시 관리론이 부각되었다.
도시관리를 강조한 팔은
도시를 지리적 물리적 공간으로서가 아니라 상이한 이해관계를 지닌 거주자 집단들의 갈등 상황을 조정하고 통제하는 정치적 사회적 체제로 파악하였다.
미국에서는
도시변동의 경제적 측면과 사회 분업을 강조한 짐멜과 뒤르켐의 사유는 시카고학파에 이어진다.
파크는
자연 생태계에서 일어나는 생존경쟁의 논리를 도시 공간의 변동 과정에 적용하여 ‘인간 생태학’이라는 개념을 제시했다. 이는 도시 공간이 다양한 사회집단의 경쟁, 투쟁, 적응, 동화의 과정을 거치는 공간이라는 것이다.
버제스는
시카고를 연구함으로써 ‘동심원이론’을 발표했다. 도시 공간의 기능적 분화를 분석하여 도심으로부터 동심원 방향으로 확대되어간 공간 확대의 논리였다.
이와 달리 시카고 학파의 또 다른 인물 워스는
문화적 구조에 주목했다. 그는 도시사회의 여러 현상들은 도시의 규모, 밀도, 기능적 유형의 차이에 따라 변화한다고 주장하였다. 이처럼 도시의 독특한 생활양식을 구성하는 집합적인 속성들을 그는 도시성이라고 규정하였다. 도시성에 대한 분석은 도시 연구자들에게 도시를 단지 물리적 실체로만 보지 않고 사회집단과 공동체의 삶의 방식에 의해 특성화되는 도시성에 대해 고민하게 해 주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