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철학/인식론

[인식론 강의 #2] 인식론의 탐구 대상과 문제들

by 정치! 2020. 4. 19.
반응형

2. 인식론의 탐구 대상과 문제들

 

1) 지식 개념에 대한 규정

- 전통적으로 '인식'(지식)은 정당화된 참인 '믿음'으로 정의된다.

 

* 에드먼드 게티어는, 1963년에 발표한 '정당화된 참인 믿음은 지식인가?(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라는 제목의 3쪽 짜리 논문에서 수천 년 동안 철학자들 사이에 회자되어 온 지식에 대한 이론에 의문을 제기하였고, 이는 '게티어 문제'라고 일컬어진다. (위키백과 : 게티어 문제)


2) 경계의 문제

-인간이 어디까지 인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외적' 경계


-이미 성립된 지식 안에서, 경험을 통해서(경험론), 또는 이성을 통해서(합리론) 알 수 있는가에 대한 '내적'경계

 

 

"인간은 사물을 어떤 작용을 거쳐 인식하게 되는가"는 인식론의 중요한 질문이다 (사진=pixabay) 

 

 

3) 방법의 문제

-지식, 진리에 이르는 방법은 무엇인가


-지식, 진리에 이르는 방법은 하나인가 여럿인가

 * 오직 경험으로써, 오직 이성의 작용으로써, 경험과 이상의 혼합적 작용으로써 등

 
4) 회의주의

- 흄은 지식(episteme)의 성립 가능성을 부정하며, 억견(doxa)의 가능성만을 인정했다.

 

- 인식론은 위와 같은 회의주의를 극복해가며 발전했다. 

 

 

왼쪽부터, 데이비드 흄(1711~1776), 플라톤, 아리스토텔레스(B.C. 384~322)

 

 

5) 가치의 문제

- 가치의 문제가 무엇인가?


예 1) '왜 인간은 '앎'을 추구해야하는가?'

예 2) '진리를 안다는 것은 어떠한 가치가 있는가?' 

 

 

- 플라톤의 입장에서 바라본 가치의 문제


당시 소피스트들은 언어중심의 교육을 중시 여기며 학생들에게 수사학, 문법, 변론술을 주로 가르쳤다. 

소피스트들은 말을 잘하는 사람이 곧 인격이 높은 사람이라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에 반해 플라톤은 주로 기하학, 천문학, 음악과 같은 자연과학적 지식을 가르쳤다.

왜냐하면 그는 '말을 잘하는 것보다 아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그가 아는 것을 중시 여긴 까닭은 앎을 통해 올바른 인간이 될 수 있고, 올바른 인간을 통해서 올바른(정의로운) 사회가 구축될 수 있다고 생각했기 때문이다. (이러한 생각에는 소크라테스의 죽음이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보인다.) 그렇기에 그는 진리를 아는 사람(철인)이 정치를 해야한다고 주장하였다.

 

결국 플라톤이 생각한 인식론의 가치는 올바른 삶을 영위하기 위함에 있다.

 


- 아리스토텔레스의 입장에서 바라본 가치의 문제


아리스토텔레스는 지식보다는 행복을 강조하였다. 그가 생각한 최고의 행복은 진리를 관조하는 것(테오리아)에 있다고 보았다. 


결국 아리스토텔레스가 생각한 인식론의 가치는 행복한 삶을 영위하기 위함에 있다.

 


같은 시리즈의 글

[인식론 강의 #1]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1.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1) 인식론의 의미 - 인식론은 특정 대상이 아닌 앎 자체, 지식 자체를 문제 삼을 때 시작된다. - 타학문은 '존재자'를 다루지만 철학은 '존재자를 앎'을 다루는 학문이다. - 여기서 '존재..

jeongchii.tistory.com

[인식론 강의 #3] 인식론의 독자성과 필요성

3. 인식론의 독자성과 필요성 1) 인식론과 심리학 심리학에 대하여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을 인과관계에 따르는 법칙으로 규정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원인과 결과의 관계가 명료하고 필연적이여야 한..

jeongchii.tistory.com


이 글을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