철학23 [인식론 강의 #6] 플로티노스 인식론 (feat. 일자, 빛의 유출설) [인식론 강의 #6] 플로티노스 인식론 (feat. 일자, 빛의 유출설) ▼ 감성적인 것의 존재 근거로서의 초감성적 존재 '신'이 가장 근원적인 것이라면 설명할 수 없다. 예를 들어 'A는 B이다'라는 정의에서, B는 A의 상위의 개념이다. 수박은 과일이다. 과일은 수박의 상위개념이다. 그런데 '신'보다 상위의 개념이 존재할 수 없기에 신은 정의 내릴 수 없다. 신은 (?)다. (?)은 신의 상위 개념이다. 신보다 상위 개념은 있을 수 없다. 고로, (?)은 없다 ! ▼ 일자로서의 신 신을 규정하는 순간, 신이 제한 되어버리기 때문에 부정 신학적 입장을 보인다. 위키피디아의 부정의 신학 정의 보러가기 예를 들어 "신은 A이다"라고 규정하였을 때, ~A는 신이 아니다 라는 명제를 도출할 수 있는데 이는 곧.. 2020. 5. 18. [인식론 강의 #5] 플라톤 인식론 (feat. 레테의 강, 동굴의 비유, 이데아론) [인식론 강의 #5] 플라톤 인식론 (feat. 레테의 강, 동굴의 비유, 이데아론) 사람이 태어나기 전에 레테의 강을 지나며 기억을 모두 잊게 되었다. 하지만 우리의 의식 속에는 여전히 선험적인 것들이 존재하며, 이를 깨우는 것이 진리탐구이다 - 플라톤 들어가기에 앞서 플라톤은 '시인'이 되고 싶어했다. 그렇기에 초월적인 것(진리의 세계와 '신'적인 세계)에 관심이 많았다. 이것이 플라톤 철학에 신비스런 모습이 많이 나타나는 이유이다. 플라톤을 엄밀히 따졌을 때, '합리주의자'라고만 볼 수 없다. 그가 '이성적 사유'만 한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 신적인 것을 보기 위해선 직관(비합리)이 필요함이 이를 보여준다. 플라톤의 이데아론 - 동굴의 비유 땅속에 동굴이 하나 있고, 그 안에서 사는 사람들이 있다... 2020. 5. 18. [인식론 강의 #4] 인식(지식) 개념에 대한 정의 : 인식이란 무엇인가? 4. 인식(지식) 개념에 대한 정의 : 인식이란 무엇인가? 1) 앎의 유형 (영미 분석 철학 관점) - 인식의 개념을 분석하기 위해서는 우선 '나는 안다(앎)'라는 말의 의미를 밝혀야 한다. - 앎의 대상 : 앎은 참된 것에 대한 앎을 의미한다. - 앎은 대략 세 가지 유형으로 분류된다. (*일반적인 '앎'의 의미) * 능력 : ~할 줄 안다. * 면식 : 장소, 사람을 안다. 사람 간의 친분을 전제로 한다. (예: 나는 00를 알아) * 인정 : 어떤 사실을 참으로 인정한다. 올바른 정보가 전제되는 것이 필수요소다. 잘못된 근거가 우연히 맞았을 때는 참된 인식이라 할 수 없다. (1) 나는 광화문으로 가는 길을 안다. (2) 나는 원주율의 소수 여섯째 자리까지 값을 안다. (3) 나는 운전을 할 줄 안.. 2020. 4. 19. [인식론 강의 #3] 인식론의 독자성과 필요성 3. 인식론의 독자성과 필요성 1) 인식론과 심리학 심리학에 대하여 심리학은 인간의 행동을 인과관계에 따르는 법칙으로 규정한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그렇기에 원인과 결과의 관계가 명료하고 필연적이여야 한다. 영혼, 전생과 같이 인과관계를 과학적으로 해석할 수 없는 분야는 심리학에서 배제되고 있다. 심리학이 처음 등장하였을 때 데카르트를 비롯한 다수의 철학자들이 반기를 들었다. 대표적으로 데카르트는 자연의 세계와 인간의 세계가 다름을 주장하였다(이원론). 하지만 모든 철학자가 심리학에 반기를 든 것은 아니었다. 후설은 심리학적인 방법을 통해 철학을 하였고 후에 한계를 느끼고 심리학에 뒤돌아 서기도 하였다. 초기심리학은 '마음'을 일종의 자연현상으로 보며 내면적인 것에 대해 고려하지 않았다(행동심리학). .. 2020. 4. 19. [인식론 강의 #2] 인식론의 탐구 대상과 문제들 2. 인식론의 탐구 대상과 문제들 1) 지식 개념에 대한 규정 - 전통적으로 '인식'(지식)은 정당화된 참인 '믿음'으로 정의된다. * 에드먼드 게티어는, 1963년에 발표한 '정당화된 참인 믿음은 지식인가?(Is justified True Belief Knowledge?)'라는 제목의 3쪽 짜리 논문에서 수천 년 동안 철학자들 사이에 회자되어 온 지식에 대한 이론에 의문을 제기하였고, 이는 '게티어 문제'라고 일컬어진다. (위키백과 : 게티어 문제) 2) 경계의 문제 -인간이 어디까지 인식할 수 있는가에 대한 '외적' 경계 -이미 성립된 지식 안에서, 경험을 통해서(경험론), 또는 이성을 통해서(합리론) 알 수 있는가에 대한 '내적'경계 3) 방법의 문제 -지식, 진리에 이르는 방법은 무엇인가 -지식,.. 2020. 4. 19. [인식론 강의 #1]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1. 인식론이란 무엇인가? 1) 인식론의 의미 - 인식론은 특정 대상이 아닌 앎 자체, 지식 자체를 문제 삼을 때 시작된다. - 타학문은 '존재자'를 다루지만 철학은 '존재자를 앎'을 다루는 학문이다. - 여기서 '존재자'는 세계, 객관으로 '앎'은 마음, 주관으로 표현될 수 있다. 2) 인식론이라는 분과의 등장 배경 - 인식론은 근세에 들어 등장하였으며 시대적 대세의 학문으로 통용되었다. * 왜 근세인가? 근세에 들어 사고의 중심이 '신'에서 '인간'으로 변화되었으며 '신'을 배제하고 '인간'의 기준으로 확실성을 따지게 되었다. 이 때 '신'을 기준으로 따졌을 때 당연하던 것들이 의심할 만한 것들이 되어 인식론이 발전하게 되었다. 3) 대표적인 철학자 - 데카르트 근세 철학의 출발점으로 볼 수 있으며 .. 2020. 4. 19. [기술로 세상 읽기] 안면인식기술이 두려운 이유 (feat. 빅브라더 사회) 안면인식기술(또는 얼굴인식기술)이란 무엇인가 우선 천재상식백과에서 제공하는 얼굴인식기술의 정의를 아래 더보기를 통해 살펴보도록 하자. 더보기 요약 : 개인 얼굴의 특징을 구별하고 신원을 확인하는 기술 기계 장치가 사람을 분별해 내고 인지하는 기술 중에 하나인 안면 인식 기술은 사람의 '얼굴'을 통해 구별하는 것을 말한다. 이 기술은 얼굴에 있는 외형적 특징 점을 읽어낼 수 있는데 눈, 코, 입 등을 찾아 두 눈 사이의 거리, 코의 길이와 너비, 광대뼈의 모양, 턱 선의 길이 등 특징을 추출하고 기존에 등록된 사용자의 얼굴과 비교해 사람을 구별하는 것이다. 특히 최근에는 얼굴 표정을 보고 사람의 기분이 어떤지 인식할 수 있는 수준으로 발전했다. 이와 같은 인식 기술은 특히, 잠금 장치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2020. 4. 13. [문화로 세상 읽기] (여자)아이들 - Oh my god 해석 (여자)아이들의 새로운 타이틀곡 'Oh my god' 나는 이렇게 생각한다. 문화란 무엇일까 우선 한국민족문화대백과사전에서는 아래와 같이 설명하고 있다. 정의 : 한 사회의 개인이나 인간 집단이 자연을 변화시켜온 물질적·정신적 과정의 산물. 개설 문화라는 용어를 한 마디로 정의하기란 불가능하다. 문화는 그것이 속한 담론의 맥락에 따라 매우 다양한 의미를 갖고 있는 다담론적 개념이다. 서양에서 문화(culture)라는 말은 경작이나 재배 등을 뜻하는 라틴어(colore)에서 유래했다. 즉, 문화란 자연 상태의 사물에 인간의 작용을 가하여 그것을 변화시키거나 새롭게 창조해 낸 것을 의미한다. 자연 사물에는 문화라는 말이 어울리지 않지만, 인위적인 사물이나 현상이라면 어떤 것이든 문화라는 말을 붙여도 말이 되.. 2020. 4. 12. 이전 1 2 다음